리가 차량 제작 공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가 차량 제작 공장은 1895년 설립된 라트비아의 철도 차량 제작 업체이다. 소련 시기에는 전동차, 디젤 동차, 노면 전차를 생산하며 소련 최대의 철도 차량 생산 업체로 성장했다. 소련 붕괴 이후 국유화 및 사유화를 거쳐 1996년 가동 중단, 1998년 파산했다. 현재는 구형 차량 개조 및 신형 차량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과거 생산된 열차는 여러 국가에서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가의 기업 - 라트비아 철도
라트비아 철도는 1861년 리가-다우가프필스 노선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며, 독립 후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가 운영을 담당하고 Pasažieru vilciens가 여객 운송을 맡아, 국내외 노선을 운영하며 발전해왔으나, 최근 팬데믹과 전쟁으로 일부 국제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 리가의 기업 - Ask.fm
ASKfm은 익명 기반 질의응답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사이버 폭력 문제와 사용자 수 감소로 인해 2024년 12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 라트비아의 브랜드 - 라트비아 철도
라트비아 철도는 1861년 리가-다우가프필스 노선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며, 독립 후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가 운영을 담당하고 Pasažieru vilciens가 여객 운송을 맡아, 국내외 노선을 운영하며 발전해왔으나, 최근 팬데믹과 전쟁으로 일부 국제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 라트비아의 브랜드 - Ask.fm
ASKfm은 익명 기반 질의응답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사이버 폭력 문제와 사용자 수 감소로 인해 2024년 12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 트램 제작사 - 슈타들러 레일
슈타들러 레일은 1942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철도 차량 제조 기업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생산하며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여 맞춤형 철도 차량 제작에도 주력한다. - 트램 제작사 - 스코다 교통
스코다 교통은 체코의 철도 차량 제조 회사로, 트램, 지하철 차량, 전기 기관차 및 EMU를 생산하며, 트램 현대화 사업 참여 및 자체 트램 개발, 지하철 열차 현대화, 그리고 유럽 및 해외 시장에 EMU 수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왔다.
리가 차량 제작 공장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종류 | 자회사 |
산업 분야 | 철도 운송 |
설립 | 1895년 |
해산 | 2017년 |
소재지 | 리가, 라트비아 |
서비스 제공 지역 | 구 소비에트 연방 |
전신 | 포드-바이로그스 |
추가 정보 | |
제품 | 철도 차량 |
2. 역사
1895년 오스카 프리위르트가 '''페닉스'''라는 이름으로 공장을 설립했다. 1936년 페닉스는 합자회사 '''바이로스'''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포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포드-바이로스 자동차를 생산했다.[1]
소련 점령 후 국유화되어 '리가 차량 제작 공장'(RVR)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수년간 소련에서 가장 큰 전동차 및 디젤 동차, 노면 전차 생산 업체였다.[1] 1973년부터 1988년까지 고속 ER200 열차를 제작했다.
소련 붕괴와 코메콘 해체 이후, 1996년에 가동을 중단했고 1998년에 파산했다.[1] 이후 두 부분으로 사유화, 러시아 재벌 알렉세이 모르다쇼프가 지배하는 세베르스탈 인수, 지주 회사 인수, 벨라루스 철도에 디젤 동차 제작, 차량 개조, 소유 구조 변경, 신차 주문 부족, 파트너십 시도 실패를 거쳐 2017년에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다.
2. 1. 설립 초기 (1895년 ~ 1940년)
1895년 사업가 오스카 프리위르트가 '''페닉스'''라는 이름으로 공장을 설립했다.[1] 1936년 페닉스는 합자회사 '''바이로스'''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포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포드-바이로스(Ford-Vairogs) 자동차를 생산했다.[1][3]2. 2. 소련 점령기 (1940년 ~ 1991년)
소련에 의해 라트비아가 점령된 후 국유화되어 '리가 차량 제작 공장'(RVR)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수년간 소련에서 가장 큰 전동차 및 디젤 동차 생산 업체이자 노면 전차 생산 업체였다.[1] 가장 잘 알려진 제품으로는 ER1 전동차, ER2 전동차, ER7 전동차, ER9 전동차, ER31 전동차, DR1 디젤 동차, DR1A 디젤 동차, DR1P 디젤 동차 등이 있으며, 이 중 많은 차량이 오늘날에도 운행되고 있다. 1973년부터 1988년까지 고속 ER200 열차를 제작했다.2. 3. 독립 이후 (1991년 ~ 현재)
소련 붕괴와 코메콘(COMECON) 해체 이후, 공장은 1996년에 가동을 중단했고 1998년에 파산했다.[1] 두 부분으로 사유화되었으며, 한 부분은 러시아 재벌 알렉세이 모르다쇼프가 지배하는 회사인 세베르스탈에 인수되었다. 2001년 지주 회사가 공장을 인수했으며,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벨라루스 철도에 새로운 디젤 동차를 제작했다. 다른 주문은 주로 이전에 제작했던 차량의 개조였다. 여러 차례 소유 구조가 변경된 후, 수년간 신차 주문이 부족했고 다른 철도 제조업체와의 여러 파트너십 시도가 실패한 끝에 2017년에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다.3. 제품
RVR은 ER1, ER2 등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 DR1 등의 디젤 동차, RVR-6 등의 노면 전차를 생산했다.
3. 1. 열차
리가 차량 제작 공장(RVR)은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와 디젤 동차를 생산했다. 현재 구형 ER2와 ER9 전동차 개조와 함께 ER22/29/35를 개발하고 있다. 새 차량은 적층 플라스틱, 알루미늄 패널, 유리 섬유로 만든 새로운 내장을 갖추고, 승객은 가죽 또는 직물 좌석을 선택할 수 있다.3. 1. 1. 전동차
모델명 | 생산 시작 연도 |
---|---|
ER1 | 1957년 |
ER2 / ER2R / ER2T | 1962년 |
ER3 | 1963년 |
ER6 | 1965년 (프로토타입) |
ER7 | 1957년 |
ER9 / ER9P / ER9M / ER9E / ER9ET / ER9T | 1962년 |
ER10 | 1960년 |
ER11 | 1965년 |
ER12 | 1976년 |
ER200 | 1974년 |
3. 1. 2. 디젤 동차
모델명 | 첫 생산 연도 | 비고 |
---|---|---|
DR1 / DR1P / DR1A / DR1B | 1963년 | 2량에서 12량 편성, 유로3 기준 적합 엔진 탑재 |
AR-1 | 1969년 | |
AR-2 | 1997년 |
3. 2. 노면 전차
1923년부터 1930년까지 리가 차량 제작 공장은 리가 시에 약 40대의 노면 전차를 납품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9년에는 MTV-82 노면 전차 생산을 시작했다. 1960년부터 1989년 사이에는 6,000대 이상의 RVR-6 노면 전차가 제작되었다.2002년, RVR은 리가 시장과 2010년까지 리가의 노면 전차를 일괄적으로 갱신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새로운 노면 전차는 기존의 타트라제 차량보다 쾌적하고 안전하며, 더 조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RVR에 따르면, 신형 차량은 밝고 넓은 내부를 특징으로 하며, 에너지 효율은 기존 차량보다 20~30% 향상될 예정이었다. 매년 15량에서 20량 정도의 속도로 생산될 예정이었으며, 타트라 제 차량은 점차 운행에서 제외될 계획이었다.[6] 그러나 이후 경영 악화로 인해 계약은 이행되지 못했다. 2008년 기준으로, 많은 RVR 제 노면 전차가 라트비아 제2의 도시인 다우가프필스에서 운행되고 있다.
4. 현재 운용 현황
소련 시대에 제작된 많은 RVR 열차가 구 소련 전역에서 여전히 운행 중이다.[2] RVR 전동차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구 소련의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ČKD Tatra에서 제작한 전동차를 선호한다.
회사명 | 국가 | 운행 중인 종류 (수량) |
---|---|---|
아르메니아 철도 | 아르메니아 | ER2 (66) |
아제르바이잔 국영 철도 | 아제르바이잔 | ER2 (74) |
불가리아 국립 철도 | 불가리아 | 32 클래스 (79), 33 클래스 (6) |
벨라루스 치훈카 | 벨라루스 | ER9 (57), DR1 (~100), DR1A (~70), DR1B (15), DRB1 (12), DRB1m (7), DR1Pt (5) |
조지아 철도 | 조지아 | ER2 (~100) |
카자흐스탄 테미르 졸리 | 카자흐스탄 | ER9 (77), DR1 (14), DR1A (14) |
리투아니아 철도 | 리투아니아 | ER9 (16), DR1 (12) |
파사지에루 빌치엔스 | 라트비아 | ER2 (108), ER2T (23), DR1A (46), DR1AM (9), DR1AC (5) |
젤레즈니키 프레보즈 츠르네 고레 | 몬테네그로 | 412 클래스 (5) |
마케돈스키 젤레즈니치 | 북마케도니아 | 412 클래스 (4) |
로시스카예 젤레즈니예 도로기 | 러시아 | ER1 (260), ER2 (1106), ER22 (66), ER200 (2), ER9 (617) |
젤레즈니체 스르비예 | 세르비아 | 412 클래스 (38) |
우크르잘리즈니차 | 우크라이나 | ER1 (?), ER2 (?), ER9 (?), DR1A (57), DR1P (21) |
참조
[1]
웹사이트
Severstallat
http://www.webgroup.[...]
[2]
웹사이트
current operations
http://www.railfaneu[...]
2007-05-12
[3]
웹사이트
Severstallat
http://www.webgroup.[...]
[4]
웹사이트
Diesel trains
http://www.rvr.lv/ru[...]
2007-07-12
[5]
웹사이트
Electric trains
http://www.rvr.lv/ru[...]
2007-07-12
[6]
웹사이트
trams
http://www.rvr.lv/ru[...]
2007-07-12
[7]
웹사이트
current operations
http://www.railfaneu[...]
2007-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